1

temp 2014. 1. 16. 12:36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503&docId=29992862&qb=Q0RO&enc=utf8&sect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RWOfEc5Y7t0ssavyZ2hssssssuh-280569&sid=UtdSmHJvLB0AAFDyD5g



CDN 호스팅 서비스란?

대부분의 대형 사이트에서 이용하고 있는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서비스는 동일한 데이터를 가진 많은 서버가 여러 IDC 또는 여러 ISP에 분산 설치되어 있으면서 접속을 요청한 클라이언트와 가장 근접한 곳에 있는 서버가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웹 접속 속도를 더욱 개선한 고급 기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유저가 어떤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지에 관계없이 마치 같은 네트워크에서 접속하는 것처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접속자가 많은 대형 쇼핑몰이나 포털, 게임 사이트 등에서는 이미지나 사이즈가 큰 파일 그리고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해 필수적으로 CDN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 옥션,다음,gmarket,인터파크등에 상품이미지를 링크하여 상품을 판매하고자 한다면 빠르고 안정적인 접속이 상품 판매와 직결됩니다. 이제는 낮은 사양의 1대 서버로 운영되는 단순한 이미지호스팅이 아니라 CDN을 이용하실 때입니다.

 

* 이미지 사이트나 쇼핑몰등 고용량의 이미지를 다루는 사이트를 운영한다면 TT CDN 서비스를 이용하세요. 아무리 고용량 이미지라도 이미지가 다 뜰 때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마치 로컬에서 접속하는 것처럼 빠르고 시원하게 접속됩니다.

 

* 용량이 큰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선택의 여지없이 CDN 서비스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다운로드 속도가 느리다면 이미 고객은 다른 경쟁사로 눈을 돌릴 것입니다. CDN 서비스의 빠른 속도로 경쟁사를 더욱 앞서가세요.

 

* 많은 돈을 들여 이벤트를 했는데 접속이 폭주하여 사이트가 느려지거나 심한 경우 사이트가 차단됩니다. 따라서 짧은 기간 이벤트를 하여 폭주가 예상된다면 CDN 서비스를 이용해보세요. 아무리 접속이 폭주해도 시원하게 접속됩니다.

 

구 분TT CDN 호스팅타사 이미지 호스팅
접속 폭주 시 
대처방법
서비스중단 없이 로드발랜서에서 
서버만 확장으로 간단히 가능
서비스 중지나 단독서버로 이전










CDN서비스가 대체로 어떤 것인지는 설명이 된 것 같구요.

 

추가로 부연하자면,  국내에서는 CDN서비스가 별 효과가 없습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의 초고속 통신망업계의 치열한 경쟁, 그에 따른 발달 때문입니다. 

하나로통신과 KT구간간에 연동이 무척 원활하기 때문에-속도가 생명인 관계로-  각 통신사 말단에 구태여 서버를 달지 않아도 좋은 속도가  나오기 때문이죠.

 

CDN이 의미가 큰 영역은 국가간 영역으로, 국가간 네트워크 대역폭은 비싸고, 응답시간도 많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한가지 더 주의해서 볼 점은,  독자적으로 네트워크 연결망을 가지고 있는 작은 ISP로 CDN 서비스를 할 경우에는 각 통신사랑 대역폭이 작아서 순간적으로 요청이 몰리면 CDN의 장점보다 오히려 작은 대역폭으로 인한 문제점이 생길 가능성도 있습니다.

 

각 통신사와 작은 대역폭으로 연결된 CDN쪽이 한 통신사에만 연결됐지만 큰 대역폭으로 되어있는 쪽보다 꼭 유리하지만은 않은 것이 현실이죠.

 

오픈마켓(G마켓이나 옥션)에 이미지를 올릴 때, 보통 웹호스팅업체에서 구현하는 저렴한 이미지호스팅만 이용해도 속도면에서 그렇게 큰 문제는 현실적으로 없다고 봅니다.  쇼핑몰 호스팅간의 경쟁으로 요즘 일부 업체에서는 어느정도의 이미지호스팅을 무료로 서비스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카페24의 경우가 그 예입니다.

 

결론적으로 이미지 호스팅의 방법 중 가장 비싸게 제공될 수 밖에 없는 서비스가 CDN서비스인데 반해서,  우리나라 통신서비스 구조상 가격에 준하는 메리트는 별로 없다는 것이 제 생각 입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